AWS

Amazon EBS?

윤승 2025. 2. 6. 21:35

EC2 인스턴스의
EBS(Eleastic Block Store) 볼륨

EBS 볼륨의 개념

  • EBS 볼륨: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블록 스토리지. 인스턴스 종료 후에도 데이터가 유지됩니다.
    • 인스턴스 종료 후에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으며, 다시 연결해 사용 가능.
    • CCP 레벨에서는 하나의 EBS 볼륨은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만 연결 가능.
    • 어소시에이트 레벨에서는 일부 다중 연결이 가능.

가용 영역 (Availability Zone) 제한

  • EBS 볼륨은 특정 가용 영역에 속함.
    • EBS 볼륨이 생성된 가용 영역에서만 EC2 인스턴스에 연결 가능.
    • 예시: us-east-1a에서 생성된 EBS 볼륨은 us-east-1b에서 사용 불가.
    • 스냅샷을 이용하면 다른 가용 영역으로 데이터 이동 가능.

EBS 볼륨의 특징

  • 네트워크 드라이브로, 인스턴스와 통신하려면 네트워크가 필요. 이 때문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음.
  • 다른 인스턴스에 빠르게 연결 가능.
  • 용량과 IOPS(단위 시간당 입출력 작업 수)를 미리 결정하여 프로비전 용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.
  • 인스턴스에 연결하지 않고도 EBS 볼륨을 생성하고 보관 가능.

성능 및 요금

  • EBS 볼륨의 성능IOPS스토리지 크기에 따라 달라짐.
  • 필요에 따라 프로비전 용량을 설정하고, 이후에 확장 가능.
Amazon EBS는 볼륨의 특정 시점 스냅샷을 Amazon S3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.

 

여기서 스냅샷이란?

EBS 스냅샷의 개념

  • EBS 스냅샷: 원하는 시점에 EBS 볼륨의 상태를 백업하는 기능입니다.
    • 스냅샷을 생성하면 해당 시점의 볼륨 상태가 저장되며, 볼륨이 삭제되더라도 스냅샷을 통해 복구 가능.
    • 백업 전 EBS 볼륨을 분리할 필요는 없지만, 분리를 권장합니다. 이는 스냅샷을 더 깔끔하게 만들기 위함입니다.

EBS 스냅샷의 활용

  • 복구: 스냅샷을 통해 EBS 볼륨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.
  • 가용 영역 및 리전 간 복제: 스냅샷을 이용해 다른 가용 영역(AZ)이나 리전으로 데이터를 복제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예를 들어, US-EAST-1A의 EBS 볼륨을 스냅샷을 통해 US-EAST-1B로 복제 가능.
    • 스냅샷을 생성할 때 EC2 인스턴스를 중단하거나, 중단하지 않고도 생성 가능.

스냅샷 복구와 전송

  • 스냅샷을 통해 다른 가용 영역에서 새 EBS 볼륨을 복구한 후, 이를 새로운 EC2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가용 영역 간에 EBS 볼륨을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.



BS 스냅샷 특성

  1. EBS 스냅샷 아카이브
    • 스냅샷을 아카이브 티어로 이동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.
    • 아카이브 티어는 비용이 75% 저렴하지만, 복구하는 데 24시간에서 72시간이 소요됨.
    • 급하지 않은 데이터나 장기 보관용 스냅샷에 적합.
  2. EBS 스냅샷 휴지통
    • 스냅샷을 실수로 삭제했을 때 휴지통을 통해 복구 가능.
    • 휴지통에 설정한 기간 동안(1일에서 1년 사이) 스냅샷이 보관되며, 설정한 기간이 지나면 완전히 삭제됨.
    • 실수로 삭제된 스냅샷 복구를 대비한 기능.

 

EBS 볼륨정리
  • 한 번에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드라이브입니다.
  • 특정 가용 영역(AZ)에 매핑되며, EBS 스냅샷 기능을 사용해 백업할 수 있습니다.
  • EBS 스냅샷을 통해 한 EBS 볼륨에서 다른 AZ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.









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WS - S3  (0) 2025.02.11
AWS - Elastic Load Balancing 및 Auto Scaling 그룹  (1) 2025.02.08
AWS EC2-Elastic 컴퓨팅 클라우드  (0) 2025.02.05
AWS IAM?  (1) 2025.02.03
클라우드와 클라우드 컴퓨팅 개요(AWS)  (1) 2025.02.02